본문 바로가기
잡글

SRT, KTX 열차 정기권 이용 방법과 구매 방법 정리

by Jobapp 2023. 12. 9.
반응형

생각보다 대한민국에 기차 통근자가 많은 것 같습니다. 대학시절 인근 도시에서부터 학교를 위해 통근 열차를 이용하는 몇몇 친구들이 있었는데, 내년에는 제가 정기권을 끊고 기차를 타고 출근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KTX, SRT 정기권 어떻게 구매하는지 정보를 찾아보다가, 이 글도 어쩌면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도 있겠다는 생각에 글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KTX, SRT 정기권

일단 정기권은 말 그대로 일정 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기차를 탑승할 수 있는 티켓입니다. SRT의 경우 정기권은 10일, 1달권 구매가 가능하고, KTX는 기간을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대신 KTX는 티켓 구매가 현재일 기준으로 1달이기 때문에 최대 1달 기간내로만 구매가 가능합니다.

정기권은 매일 티켓을 결제하는 것보다 최대 50% 정도 싸게 탑승할 수 있습니다. 동탄에서 서울 출퇴근자를 위해 SRT에서 수서까지 정기권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꽤나 많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수서-동탄 기준으로 일반 승차권 1회 탑승 가격이 7,400원입니다. 왕복이면 두 배인 14,800원입니다. 정기권 이용시 128,000으로 10일 이용 가격보다 저렴하게 1달 이용이 가능합니다. KTX는 별도 설정해야 하지만, 기본적으로 SRT 정기권의 경우 주말 탑승도 가능합니다. (KTX의 경우, 기간 자유형 선택 시 주말 탑승 여부 설정이 가능하고,설정 시 주말 비포함 정기권 보다 가격이 비쌈)

정기권은 구매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빈자리에 앉아 가시면 됩니다. 그리고 자리가 없다면 일반 입석처럼 이용하시면 됩니다. KTX 정기권의 경우, 아래 등급의 열차 새마을, 무궁화도 자유롭게 탑승이 가능합니다.

SRT, KTX 열차 정기권 이용방법과 장점을 다시 정리해보겠습니다.

  • 일반 승차권을 여러번 구매하는 것보다 50% 정도 저렴
  • 이용 방법은 기본적으로 입석, 빈자리 착석 가능
  • 주말 탑승 : SRT는 가능, KTX는 구매 시 선택 가능
  • 기간 설정 : 기본 10일권, 1달권 (KTX는 기간 설정 가능)
  • 본인만 이용 가능 (당연하겠죠!)

 

SRT 정기권 구매 방법 (SRT 앱 기준)

SRT 정기권 구매하는 방법을 앱 기준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SRT 정기권은 홈페이지 구매가 불가능하고, 앱에서만 예약 가능합니다.

1. 어플레케이션에 접속합니다.

2. 왼쪽 상단에 '3선 줄' 버튼을 누리고 '정기/회수 승차권 발권'으로 들어갑니다.

3. 탑승할 구간을 선택합니다. 

4. 승객유형과 정기권 사용 기간을 설정하고 열차 조회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5. 주의사항이 팝업으로 나오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6. 탑승할 가는 열차, 오는 열차를 선택하고 선택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7. 가격을 확인하고, 예약하기 버튼을 눌러 결제를 진행합니다.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정기권 예약방법 (레츠코레일) 

1. 레츠코레일 앱 접속하고 우측 상단에 '3선 줄' 버튼 클릭

2. '승차권 예매'의 '할인 정기권' 선택

3. 할인 정기권 페이지에서 일반 정기권 예매하기 누르기 (기간자유형은 10일 이상 자유롭게 선택 가능)

4. 구간 선택 및 기간 선택

5. 이용할 열차 (KTX, 새마을, 무궁화 중) 선택하고 결제하기

 


 

이상으로 SRT, KTX를 포함한 새마을호, 무궁화호 열차 정기권 예매 알려드렸습니다. 

출근하시는 모든 분들, 통학하시는 모든 분들의 삶을 응원합니다. 화이팅!

반응형